기사상세페이지

앱 열고 스마트관광 한번 잘했네!

기사입력 2022.06.05 04:56

SNS 공유하기

fa tw gp
  • ba
  • ka ks url

    앱 열고 스마트관광 한번 잘했네!

    축구선수 손흥민이 스마트폰을 들고 거리를 둘러보는 한국 홍보영상(This is my Korea. What’s yours?) 장면에 ‘스마트(smart)’라는 단어가 소개된다. 그 거리는 스마트관광도시로 변모한 인천 개항장거리로 하나의 앱 안에서 관광, 교통, 숙소, 쇼핑까지 모든 서비스를 해결하며 즐길 수 있는 곳이다. 

     

    2년 전 개항장거리를 처음 둘러볼 때는 지도 앱과 검색창을 번갈아 보기 바빴다. 그런데 스마트관광 요소가 구축된 지금은 박물관 앞에만 가도 스마트폰으로 관련 정보가 떠 깜짝 놀랐다. 2년 전과 같은 장소지만 ‘스마트관광’으로 편한 서비스를 누렸고, 신기한 기술로 체험의 재미가 달라졌다. 

     

   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사업에 선정된 인천 중구 개항장거리
   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사업에 선정된 인천 중구 개항장거리.


    # 스마트관광여행 앱으로 다양한 콘텐츠를

    차이나타운과 근대문화 유적지가 모여있는 인천 개항장거리는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사업에 선정된 이후 즐기는 방식이 또 하나 더해졌다. 인천 여행을 안내하는 제1호 스마트관광여행 앱 ‘인천e지’가 구축되어 스마트관광의 편리함과 다양한 콘텐츠를 누리게 됐다. 스마트관광도시는 관광 서비스에 인공지능(AI), 증강현실(AR), 가상현실(VR), 5세대 이동통신(5G) 등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관광 서비스를 제공해 새로운 차원의 관광지를 구현하는 사업이다. 

     

    제1호 스마트관광여행 앱 ‘인천e지’
    제1호 스마트관광여행 앱 ‘인천e지’.


    # AI가 내 취향 분석하고 여행 추천을!

    인천 개항장거리 스마트관광을 위해서는 ‘인천e지’ 앱을 내려받는 게 필수다. 많은 명소가 모여있고, 동선이 넓은 곳이라 앱 안에서 ‘AI 여행추천’부터 받아봤다. 몇 가지 질문을 거쳐 내 취향을 분석해 관광지를 추천해준다. 앱 안에 나만의 여행 패스를 만들고, 맞춤형 여행 가이드북과 최적의 동선을 훑어보니 일정이 가뿐하게 정리되는 기분이었다. 앱 안에는 인천 각 지역 명소와 체험지까지 안내가 되어있어 애써 검색하지 않고도 몰랐던 장소들을 발견했다. 

     

    AR도슨트, 360도 AR 파노라마를 체험하는 인천스마트관광도시 AR/VR체험존'
    AR 도슨트, 360도 AR 파노라마를 체험하는 인천스마트관광도시 AR/VR 체험존.


    # 스마트 콘텐츠, AR/VR 체험존

    개항장거리에 도착해 걷다 보니 ‘모바일로 떠나는 19세기 시간여행, 인천스마트관광도시 AR/VR 체험존’이라는 바닥 안내가 12곳에 있다. 중구생활사전시관에서는 AR 도슨트가 화면 안에 등장해 역사적 배경을 설명해준다. 자유공원 전망대에 오르기 전 계단 앞에도 같은 안내가 있는데, 앱을 통해 360도로 AR 파노라마 풍경을 감상하는 장소다. 또 제물포구락부와 짜장면박물관에서는 VR 무비인 리얼타임 드라마가 구동되어 단순한 관람만이 아닌 새로운 콘텐츠 하나를 더 즐겼다. 

     

    # 공공와이파이로 거리에서도 앱 알림이

    자리를 이동해 박물관이 있는 거리에 다다르니 스마트폰이 울린다. 바로 앞 박물관에 대한 알림이다. 또, 거리를 향해 앱 안의 카메라를 열면 가까운 명소 서너 곳까지 거리가 몇 미터인지 카메라 위에 뜬다. 일일이 지도 앱을 열지 않고도 근처에서 둘러볼 수 있는 명소들 정보를 얻는 것이다. 이렇게 거리에서도 앱 서비스를 놓치지 않은 것은 개항장 일대에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되었기 때문이다. 덕분에 AR/VR 체험, 오디오 가이드 등을 데이터 사용 부담 없이 이용했다.

     

    스마트관광정보와 스마트오더
    먹는 것도 스마트하게.


    # 스마트 오더, 다국어 서비스

    식사 때는 ‘인천e지’ 앱의 ‘스마트 오더’와 ‘쿠폰’ 메뉴를 활용했다. 주변 맛집 대기 상황과 메뉴, 가격, 월 판매량까지 나와 어떤 음식이 인기인 곳인지 파악이 된다. 음료, 체험 등 다양한 쿠폰이 있어 경비 절감에도 도움됐다. 또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국어 서비스, 비대면 주문,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해 여러 국가의 관광객이 불편함 없이 스마트관광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.

     

    # 모빌리티도 예약부터 결제까지 앱에서

    또 하나 편한 점은 인천시티투어, 월미도 바다열차, 개항장 이야기 자전거 예약부터 결제까지 앱 안에서 다 된다는 점이다. 이러한 연계 투어가 있다는 걸 모르는 방문객이 있을 텐데, 앱 안의 메뉴와 기능만 활용해도 발품과 버려지는 시간을 줄이면서 더 많은 걸 누릴 수 있을 것이다. 작은 숍 하나까지 지역관광 인프라가 앱 안에서 연계가 되어 몰랐던 곳을 발견할 수 있었고, 관광 후기까지 앱 안에서 정보를 얻어 편했다. 

     

    스마트관광도시를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새단장한 1883개항살롱
    스마트관광도시를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새 단장한 1883개항살롱.


    # 홍보, 주민소통 지원하는 컨트롤 타워

    스마트관광도시를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지난 달 새 단장해 문을 연 ‘1883개항살롱’도 찾아가봤다. 각종 안내자료가 있고, 포토존과 유아 놀이기구가 있어 쉼터처럼 보였는데 앞으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주민소통 업무와 시민 의견을 듣는 중심 역할을 해 개항장 일대를 더욱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단다. 

     

    2022년 스마트관광도시 선정(출처=문화체육관광부)
    2022년 스마트관광도시 선정.(출처=문화체육관광부)


   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관광도시는 점차 늘어나 경기 수원, 대구 수성구, 전남 여수 세 곳도 현재 스마트관광도시를 조성하고 있다. 올해는 다양한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 규모와 지역 관광자원 특성을 고려해 교통연계형, 관광명소형, 강소형으로 나눠 스마트관광도시 공모를 진행한다고 하니 더욱 다양한 문화관광자원이 스마트 기술과 접목될 것 같다. 

     

    기술과 관광이 융복합된 스마트관광을 체험해보니 맞춤형 관광도, 기술에 기반한 편의성도 만족스러웠다. 관광의 디지털 변혁인 스마트관광이 디지털 경쟁력은 물론, 지역 관광력에도 활력을 불어 넣어주길 기대한다. 


   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최유정 likkoo@naver.com  




    [자료제공 :(www.korea.kr)]

    연예

    연예

    backward top hom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