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.04.26 (금)

  • 구름많음속초20.1℃
  • 구름많음17.9℃
  • 구름많음철원19.9℃
  • 구름많음동두천20.5℃
  • 구름조금파주19.7℃
  • 구름많음대관령21.5℃
  • 구름많음춘천18.3℃
  • 맑음백령도15.0℃
  • 흐림북강릉23.7℃
  • 구름많음강릉25.8℃
  • 구름많음동해22.8℃
  • 구름많음서울19.3℃
  • 박무인천17.6℃
  • 구름많음원주19.5℃
  • 흐림울릉도18.9℃
  • 박무수원20.4℃
  • 구름많음영월19.9℃
  • 구름많음충주19.5℃
  • 구름많음서산19.3℃
  • 흐림울진18.8℃
  • 구름많음청주20.8℃
  • 구름많음대전20.7℃
  • 구름많음추풍령22.4℃
  • 구름많음안동19.1℃
  • 구름많음상주20.8℃
  • 흐림포항20.2℃
  • 구름많음군산19.9℃
  • 흐림대구21.0℃
  • 구름많음전주21.1℃
  • 흐림울산19.6℃
  • 흐림창원18.8℃
  • 구름많음광주20.4℃
  • 흐림부산17.5℃
  • 흐림통영16.2℃
  • 구름많음목포19.3℃
  • 흐림여수16.5℃
  • 구름많음흑산도18.2℃
  • 흐림완도17.1℃
  • 구름많음고창19.9℃
  • 흐림순천18.4℃
  • 박무홍성(예)19.4℃
  • 구름많음19.3℃
  • 흐림제주17.2℃
  • 흐림고산16.6℃
  • 흐림성산18.1℃
  • 흐림서귀포18.5℃
  • 흐림진주18.4℃
  • 구름조금강화19.4℃
  • 구름많음양평18.8℃
  • 구름많음이천19.1℃
  • 구름많음인제20.3℃
  • 구름많음홍천19.4℃
  • 구름많음태백23.4℃
  • 구름많음정선군21.9℃
  • 구름많음제천19.6℃
  • 구름많음보은19.7℃
  • 구름많음천안21.1℃
  • 구름많음보령20.3℃
  • 구름많음부여20.3℃
  • 구름많음금산20.7℃
  • 구름많음20.5℃
  • 구름많음부안20.1℃
  • 구름많음임실21.6℃
  • 구름많음정읍21.6℃
  • 흐림남원19.2℃
  • 구름많음장수21.3℃
  • 구름많음고창군21.6℃
  • 구름많음영광군20.6℃
  • 흐림김해시18.0℃
  • 구름많음순창군19.4℃
  • 흐림북창원19.0℃
  • 흐림양산시19.4℃
  • 흐림보성군18.2℃
  • 구름많음강진군17.7℃
  • 흐림장흥18.4℃
  • 구름많음해남19.0℃
  • 흐림고흥18.6℃
  • 흐림의령군18.6℃
  • 흐림함양군20.1℃
  • 흐림광양시18.4℃
  • 흐림진도군18.6℃
  • 흐림봉화18.8℃
  • 흐림영주17.9℃
  • 구름많음문경18.3℃
  • 구름많음청송군20.6℃
  • 흐림영덕24.2℃
  • 구름많음의성20.2℃
  • 구름많음구미20.9℃
  • 구름많음영천19.4℃
  • 흐림경주시19.5℃
  • 흐림거창19.8℃
  • 흐림합천20.1℃
  • 흐림밀양18.4℃
  • 흐림산청19.5℃
  • 흐림거제16.6℃
  • 흐림남해17.0℃
  • 흐림19.0℃
기상청 제공
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, 바닷새 번식지 복원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뉴스

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, 바닷새 번식지 복원

바다쇠오리, 바다제비 등 희귀조류 철새 중간기착지로 보호가치 높아

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, 바닷새 번식지 복원

 ◇ 바다쇠오리, 바다제비 등 희귀조류 철새 중간기착지로 보호가치 높아

 ◇ 바닷새 서식환경 조성을 위해 위해식물 제거와 번식지 조성에 나서

 

칠밭도.png

<칠발도 전경> 출처 : 국립공원공단


□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(이사장 권경업)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칠발도(전남 신안군 비금면)에 바다쇠오리, 바다제비, 슴새 등 바닷새의 번식지를 복원한 결과, 폐사한 바닷새가 2015년 약 400마리에서 2018년에는 2마리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.

 ○ 칠발도는 목포에서 서쪽으로 47km 떨어진 무인도로 해양성 조류인 바다쇠오리, 바다제비, 슴새, 칼새 등 희귀조류를 비롯해 50여 종 이상의 조류가 서식하는 여름철새의 중간기착지이자 집단번식지다.

 ○ 해양성 조류인 바다쇠오리의 국내 최대 번식지로 매년 2,000여 쌍 이상이 번식하고 있으며, 봄철 우리나라로 이동해 6월부터 10월 사이 번식을 하는 바다제비는 전 세계 개체군의 80% 이상이 신안군 칠발도와 가거도 인근에 위치한 구굴도에서 번식하고 있다.


□ 칠발도는 과거 1990년대 중반까지 유인등대로 이용되었을 때 사람의 출입과 함께 유입된 쇠무릎, 갓, 가시복분자 등이 점차 번성해 바닷새 서식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었다.

 ○ 칠발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천적에 숨을 수 있도록 바위 틈 사이나 풀의 뿌리 밑에 굴을 파 둥지로 삼는다. 이 때 쑥, 갓, 억새, 쇠무릎 등 이 섬으로 유입된 식물이 이곳에서 자생하는 밀사초보다 크게 자라 생장을 방해하거나 뿌리번식으로 바닷새들이 둥지를 만들기 힘들게 한다.

  ※ 밀사초: 남부지역 바닷가 모래 위나 절벽, 바위틈에서 자라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짧은 뿌리줄기에서 조밀하게 뭉쳐나고 30∼40cm로 자라며, 척박한 환경의 섬지역에서는 암반위에 형성된 얇은 토양층에 뿌리를 내려 토양유실을 막아주고 바닷새들이 밀사초 뿌리아래에 구멍을 파고 둥지를 틈

 ○ 특히 쇠무릎은 9월과 10월 갈고리 모양의 종자가 열리는 여러해살이풀로 바닷새가 둥지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날개에 엉켜 붙게 되어 날개 짓을 못하게 돼 탈진으로 죽음에 이르게 된다.


□ 이에 국립공원공단은 2014년부터 최근까지 유입식물을 집중적으로 제거하고 바닷새가 바위틈 사이와 식물 뿌리 아래에 안정적으로 둥지를 틀 수 있도록 자생식물인 밀사초를 심어 서식환경을 복원하고 있다.

 ○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바닷새가 주로 서식하는 섬 남쪽 사면 일대에 쇠무릎을 제거하고 유채, 쑥대 등 밀사초의 생장에 방해가 되는 키 큰 초본류의 서식지역 3,800㎡를 제거했다.

 ○ 아울러, 제거한 자리에 육지에서 3년간 키워 성숙한 밀사초 1만 4,000포기를 심고 뿌리 아래 구멍을 파 둥지를 만들거나 바닷새들이 비,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서식환경을 조성했다.

 ○ 지속적인 바닷새 번식지 복원 작업으로 2015년까지 연간 400마리 이상이 폐사되던 바닷새는 2016년에 23마리, 2017년 11마리, 2018년 2마리로 급격히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


□ 이천규 국립공원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서부사무소장은 “칠발도는 여름 철새가 이동 중 번식과 휴식을 취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있다”라며, “바닷새의 안정적인 서식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”라고 밝혔다.


[붙임 1] 관련사진


칠밭도위치.png

<칠발도 위치>

 

칠반도전경.png

<칠발도 전경>

 

바다제비.png

<밀사초 사이에 알을 품고 있는 바다제비>

 

유입식물제거.png

<유입식물 제거>


[붙임 2] 전문용어 설명

칠발도 : 목포에서 서쪽으로 47km 떨어진 무인도로 면적 36,993㎡, 최고봉 해발 105m, 평균 경사 50°의 가파른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. 바다제비, 슴새 및 칼새의 번식지며, 2009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에 등재, 2011년 국립공원에 신규 편입되어 2014년부터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2016년 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 카테고리 Ia(엄정보호구역)으로 승격되어 보호하고 있다. 


쇠무릎 : 우리나라 자생식물로 들녘, 길가 둑이나 집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. 원줄기 마디가 튀어나온 것이 ‘소의 무릎 뼈’같다고 하여 쇠무릎이라 한다. 개화기는 8~10월, 결실기는 9~10월로 열매는 쉽게 떨어져 새에 깃털에 엉켜 붙을 경우 비행능력을 상실시킨다.


바다쇠오리 : 해상에서 무리지어 작은 물고기를 사냥하며 잠수가 가능하다. 둥지는 특별한 재료없이 바위 틈 사이 바닥이나 부엽토에서 자생하는 초본류 뿌리 밑에 굴을 파거나 바다제비 둥지를 그대로 이용하기도 한다. 번식 시기는 3월~4월로 한 배에 1~2개 산란하고 칠발도와 구굴도에서 집단번식하며 거제도와 백령도 주변의 무인도에도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 

 

바다제비 : 우리나라에는 4월~5월에 찾아오는 여름 철새로 번식기인 7월~8월에 경사진 곳 사초과 뿌리 밑에 굴을 파거나 바위틈에 알을 낳는다. 포란과 육추는 암수교대로 하며 먹이활동 후 주로 밤 9시를 전후로 둥지로 돌아온다. 대표적인 집단번식지는 칠발도와 구굴도로 이 섬들은 천연기념물로 지정, 보호하고 있다.




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